분산투자의 중요성

중앙일보 연재 2011. 4. 9. 08:52 posted by Mike Lee

중앙일보에 연재되고 있는 글을 따로 모웁니다. 저의 사이트에 처음 오시는 분들이 간단하게 먼저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입니다. 다른 곳에 글과 중복되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분산투자(Diversification)가 제대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투자할 때 한, 두 종목 혹은 특정한 부분(sector)에 투자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방법은 많은 위험성을 수반하며, 많은 위험성을 갖고 있는 포트폴리오는 잘못된 결정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금융회사에서 운영하는 재정문서를 보면 각가지 색으로 아름답게 분산투자된 도형을 보여 줍니다. 그러나 자세히 검토하면 대부분의 경우 제대로 분산투자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한때 잘 나가던 회사, Enron, Lucent Technologies, WorldCom, Qwest, or Adelphia Communication 등의 주식에 투자를 했다고 상상해 보십시요. 또한 2000~2002년의 기술주식(technology) 투자 역시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경험입니다.

 

제대로 되지 않은 분산투자의 결과을 다시 생각해 봅니다. 2000년도 에는 기술주식이 30.7%, 2001년 에는 35.2%, 그리고 2002년에는 42.73%으로 폭락되었습니다.
자세한 기사는 Morningstar Principia for mutual funds, (12/31/01), 376 Technology Funds Measured에 있습니다.

 

같은 시기에 제대로 분산투자가 된 포트폴리오, 70%가 주식에 투자 그리고 30%는 채권에 투자가 되었다면 2001년에는 4%, 2002년에는 8%, 그리고 2002년에는 13%만이 떨어졌습니다. 이와 같이 투자의 위험성을 적게한다면 느긋한 마음과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투자를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제대로 분산투자가 되어 있지 않은 포트폴리오는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에도 많은 수익률을 얻을 수가 없습니다. 한 가지 예로 1999년도 S&P 500 21% 증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수익률은 500개 회사 중 단지 8개 회사가 10%의 수익률을 그리고 나머지 회사, 492개의 회사들이 합쳐서 11%를 내어서 전체적으로 수익률이 21%로 상승 된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500개 회사들 중에서 수익률을 많이 올린 8개의 회사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사람이 이 지구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Michael Pretzer, “Men Behaving Badly, “Investment Advisor, (October 1999). 

 

미국에 뮤추얼 펀드를 운영하는 펀드매니저가 대략 15,000명이 있다고 합시다. 이 사람들이야 말로 투자의 전문가라고 말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그야말로 미국에서 좋다는 대학 혹은 대학원(?) 출신에 월스트리트(Wall Street)에서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그러기에 그만한 자리에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펀드매니저들은 좋은 회사의 주식을 사고 팔며 많은 수익을 내려고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또한 많은 사람(security analyst)들이 펀드매니저들을 도와 줍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위 우리가 말하는 주식의 전문가들도 S&P 500 Index 펀드의 수익률보다 더 좋은 결과는 단지 약20%에 불구하고 나머지 약 80%는 인덱스 펀드의 수익률 보다도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한 자료를 소개합니다.

*Between 75% and 85% of actively managed mutual funds fail to beat the index performance. 마켓워치(Market Watch, Title: New Year’s resolution for irrational investors, Dec. 31, 2006)에 나온 기사 내용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제대로 분산투자된 포트폴리오(Portfolio)를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www.BFkorean.com 
 

Copyrighted, 이명덕 박사의 재정칼럼All rights reserved.